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매출누락, 현금유도> 산후조리원, 스드메, 영유 세무조사 _ 국세청

DOTOL [관심사]

by doritori 2025. 2. 14. 10:18

본문

반응형

저출산 
결혼기피 
육아부담 등 이미 사회적 이슈인데 
 
세금 탈루한 스드메(결혼업체)24개
산후조리원 12개 영유10개
 대상으로 
46곳 세무조사 착수한다고 밝혔다 
 
(국세청 발표 참고 )
 
 
 
1. 스드메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 
 

 
결혼을 준비하려고 조금만 알아봐도 
정말 
너무 고액 이지만 
한번뿐인 결혼식 이라 생각하는 
심리를 이용하여 
 
결제 할수밖에 없는 추가결제 금액 
또는
오늘이 제일 싸다 라는 
가격횡보에 
이리저리 끌려다니고 
 
 
아는것이 아낀다는 마음으로 
업무에 집중할수 없을정도로 
발품 팔았던 기억이 납니다 
 
메리지블루(결혼전 우울증)  라는 말도 있네요 
 

출처 국세청보도자료

 
조심해야 하는 현장추가금
 
 

반응형

 
 
 
2. 산후조리원
 

 
수요를 악용하여 
출산비용을 증가 시키는 산후조리원
 
아 정말 이것도 말이 많죠
 
지난해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산모의 85.5 % 가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다고 해요 
 
소문난 산후조리원은 예약경쟁이 치열한 만큼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출처 국세청

 
 
 
 
1000만원이 넘는 이용료에
부유층에 그들만의리그 형성을 부추기는 문화
 
1000만원 넘는곳이 있다니...
저 같은 서민은 알지도 못했네요 ㅋㅋㅋ 
그들만에 리그에 못껴서 

 
 
 
 
또한 매출누락 과 
본인 건물에 일부러 산후조리원 을 입점시킨후 
시세를 초과하는 임대료를 받아 
해외여항과 사치품 구입에 썼다는 사람도 적발 됐나봐요 
 
 
 
 
 
 
3 영.유
 
부모라면 한번쯤 고민해봤을 영유
 
사교육의 상징이죠 
 
이번 조사대상자 들은 수강료 이외에 
교재비, 방과후비 , 재료비 등
쪼개서 현금으로 받고 미신고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빼돌린 돈으로 
본인들 해외유학 비를 마련했다고 하네요...
 
국세청은 2030세대가 직면한
어려움이 곧 우리사회 전체의 미래와 직결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하에 
과도한 경제적 부담을 지우고 
세금은 회피하는 사례를 계속 발굴한다 합니다 
 
 
 
이렇게 발굴하는게 어디까지 효과가 있을지...
찾아서 벌주기만 하다보면
걸리면 운이 나쁜거고
안걸리면 좋은거고?

 가격이 이렇게 널뛰는 것이 아닌
좀 더 투명한 가격측정에 제도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